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Language

[JS]Object관련 문법 JavaScript에서 Object는 많이 쓰이고 중요한 클래스이다. 시간 많을 때 꼭 Object관련 문서를 읽어보자. Object에 property 넣는 방법 Object는 property로 구성되어 있고 object.property와 object['property']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 Object의 key, value를 순회(loop)하는 방법 for...in Loop 가장 직관적 const user = { name: 'John Doe', email: 'john.doe@example.com', age: 25, dob: '08/02/1989', active: true }; // iterate over the user object for.. 더보기
[JS]Array관련 문법 타입 확인 const object = { name: 'Steve' } typeof object //object const array = [100, 200, 300] typeof array //object Array.isArray(object) //false Array.isArray(array) //true typeof로 확인한 배열의 타입은 'object'이다. 'Array.isArray()' 를 통해 배열을 구분할 수 있다. 길이 확인 function getLastElement(arr) { if (arr === []){return undefined} else { return arr[arr.length -1] } } let output = getLastElement([1, 2, 3, 4]) console.. 더보기
[JS]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소프트웨어의 목적 오늘 마이크로 서비스의 비동기 통신방법인 메시지 서비스에 대해 공부했다. 서비스 간 결합을 loosely 하게 가져가면서 의존성을 낮출 수 있고 혁신의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굳이 메시지 서비스 단계를 아키텍처에 추가하는 것이라 보았다. 뭐 서비스 간 그렇게 한다는 이유는 이해했다. 그런데 이 의존성을 낮추는 행동은 소프트웨어 전반에 해당하는 궁극적 목표라고 들었다. 프런트엔드 개발자는 UI를 설계할 때, 컴포넌트화를 목표로 한다. 백엔드 개발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의존성 주입을 목표로 한다. 마이크로 서비스는 비동기 통신을 이용해 서비스 간 독립성을 부여한다. OOP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다. 정말 많이 들은 개념이지만, 잘 모르기에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보자 class Un.. 더보기
[JavaScript]isOdd 항상 풀던 함수만들기 이다. 이번에는 조건이 추가되었다. 문제보기 더보기 문제 수를 입력받아 홀수인지 여부를 리턴해야 합니다. 입력 인자 1 : num number 타입의 정수 출력 boolean 타입을 리턴해야 합니다. 주의 사항 반복문(while)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for문 사용은 금지됩니다. 나눗셈(/), 나머지(%) 연산자 사용은 금지됩니다. 0은 짝수로 간주합니다. 한 40분을 고민 끝에 다음과 같은 해답을 내었다. function isOdd(num) { let n = 0; if( num > 0){ while ( n = num ){ n = n - 2; } if ( n === num - 2){ return false } else if ( n === num - 1){ return true } }.. 더보기
[JavaScript]덧셈함수 구현하기 살다보면 가끔씩 숫자를 0에서 부터 하나하나 더해야하는 순간이 온다. 코딩을 활용하면 훨씬 쉽게 구할 수 있다. 문제보기 더보기 sum 문제 수를 입력받아 0부터 해당 수까지의 합을 리턴해야 합니다. 입력 인자 1 : num number 타입의 정수 (num >= 0) 출력 number 타입을 리턴해야 합니다. 주의 사항 반복문(for)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시 let output = sumTo(3); console.log(output); // --> 6 function sumTo(num) {//num을 인자로 받고 let output = 0//output 변수선언과 초기화를 해준다. for ( let i = 0; i 더보기
[JavaScript]템플릿 문자열(Template string) 무엇일까? 문자열에 변수를 포함시킬때 좀 더 직관적이고 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기능이다.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차이를 나타내는 메세지를 리턴하는 함수를 만든다고 하자. function computeDifference(num1, num2) { return num1 + ", " + num2 + "의 차이는 " + Math.abs(num1 - num2) + "입니다." } 큰따옴표(")와 더하기 기호(+)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다. 템플릿 문자열을 사용할 때 function computeDifference(num1, num2) { return `${num1}, ${num2}의 차이는 ${Math.abs(num1 - num2)}입니다.` } 위와 같이 키보드 .. 더보기
[JavaScript]반복문 for 구문 for (let i = 0; i < 5; i = i + 1){ //(초기화;조건식;증감문) sum = sum + i// 반복할 내용 } while 구문 반복할 조건 중, 초기화, 증감문은 따로, 조건식만 괄호 안에 넣는다. let sum = 1; let n = 2;//초기화 while(n 더보기
[JavaScript]문자열(String) 문자열은 무엇일까? 문자의 나열. 우리가 보는 모든 글자의 나열. 가령 "경제학연습"과 같다. 컴퓨터는 코드와 문자열을 구분하기 위해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사용한다. 문자열은 string, 문자 하나는 character이다. char이라는 축약어로 부르기도 한다. 왜 쓸까? 사용자와 컴퓨터가 입출력을 공유하기 위해서 이다. 어떻게 쓸까? str[index] var str = "MasonJar"; str[0] // "M" str[0] = "J" str // "MasonJar" index는 read-only. 수정이 안된다. .length console.log(str.length); // 8 .indexof(" ") var example = "Blue Whale" example.indexOf.. 더보기